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appleii
- 3DS
- 오블완
- 컨트롤러
- Game Gear
- 닌텐도스위치
- 티스토리챌린지
- mister
- Apple II
- 패미컴
- mobilesuit
- 새턴
- snes
- 앙상블
- fpga
- 게임보이
- GOG
- ensemble
- 슈퍼패미컴
- ps4
- MSX
- 건담
- 모빌슈트
- 메가드라이브
- PC엔진
- 게임기어
- 슈퍼마리오
- Saturn
- steam
- analogue
- Today
- Total
목록fpga (21)
Just a Blog

그동안 개발 단계에 있던 새턴 코어가 오늘 MiSTer의 업데이트에 공식으로 업데이트되었다. 공식 업데이트에 포함된 버전은 23년 10월 10일자 버전이다. 예전에 PS1 실기는 없어도(이제는 구매했지만...) 세가 새턴 실기는 가지고 있었기에 개발 발표 당시에 PSX 코어 보다 관심을 덜 가지고 있었는데, MiSTer에서 새턴을 구동하면 실기에서 플레이 하는 것 보다 편하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관심을 가지고 설치해 보았다. 과거 새턴 실기를 구매한 이유가 복잡한 새턴 구조 때문에 에뮬레이션이 어려울 것이라는 생각 때문이었는데, 이제는 하드웨어 에뮬레이션 또는 재구현이 등장하는 시대가 되었다. 개발 과정 중의 버전을 사용해 본 적이 없기 때문에 사용 방법이 익숙하지 않았는데, 메뉴에서 디스크 이미지를 선택..

MiSTer에는 두 개의 MSX 컴퓨터 관련 코어가 있다. 하나는 'MSX' 코어로서 OCMC(One Chip MSX Clone)를 기반으로 만들어 진 것이고, 다른 하나는 'MSX1' 코어로서 유럽 필립스의 MSX1 모델을 타켓으로 만들어진 것이다.MSX 코어는 MSX2+ 수준의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OCMC에서 물리적 슬롯이 빠진 것이라고도 볼 수 있기 때문에 OCMC에서 SD 카드만 사용하는 것과 같은 사용의 불편함이 있다. 카트리지 롬, 플로피 디스크, 카세트테이프 이미지를 구동하기 위해 Sofarun 같은 별도의 런처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하기도 하고, 이런 파일들을 MiSTer의 SD 카드 드라이브가 아닌 가상 디스크 이미지 파일(VHD 파일)에 넣거나 빼는 작업을 해야 하니 작은 수정을 가하는..

지난 달 즈음 MiSTer의 Apple II 코어에 비교적 큰 업데이트가 있었다. 대략적으로 변경된 몇몇 사항들을 살펴 보았다. 1. NIB 형식의 플로피 디스크 이미지에 대해 Disk Write 지원그동안 Apple II 코어의 가장 큰 문제는 플로피 디스크 이미지로 디스크 쓰기가 지원되지 않는다는 점이었다고 생각한다. 디스크 쓰기가 지원되지 않으면 Ultima 시리즈 같은 Apple II의 유명 RPG 게임에서 중간 세이브가 안되기 때문이다.최근에 부분적으로 개선이 이루어져서 NIB 형식으로 된 플로피 디스크 이미지에는 디스크 쓰기가 지원된다. 얼마나 정밀하게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직접 테스트 해 본 많은 NIB 포맷의 게임에서 세이브가 진행되었다. 개인적으로 Apple II 코..

MiSTer를 사용한지 얼추 만 3년이 넘었다. MiSTer를 열정적으로 사용하시는 다른 분들에 비해 능숙하고 세련되게 잘 사용했다고 하기는 어렵지만, FPGA 재구현 방식이 레트로 게임 콘솔들 또는 레트로 컴퓨터들을 현재에 사용하기 위한 훌륭한 솔루션이라 생각해서 나름 관심을 가지고 사용해 왔던 것 같다. 실제로 그동안 사용해 오면서 소프트웨어 에뮬레이터보다 더 정교한 것에 좋은 인상을 받았고, 현재의 환경에서 실기보다 더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음에 편리함을 느꼈다.그러나 한편으로는 MiSTer를 사용하는 중에 레트로 게임 콘솔이나 레트로 컴퓨터의 실기를 다시 구매한 것도 사실이다. MiSTer를 처음 구성하여 사용할 때는 '이 정도면 실기 없이 레트로 게임을 잘 플레이 할 수 있겠다'고 생각했었는데,..

MiSTer의 MSX 코어를 슬롯이 없는 외국산 OCMC(One Chip MSX Clone)이라고 볼 수 있겠는데, '외국산'이라는 의미에는 한글 입출력 기능이나 폰트가 내장되어 있지 않다는 의미로 있다. 외국산(주로 일제) MSX에서 한글을 쓸 수 있는 방법에는 'plaire'님이 만드신 '한글 입출력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겠는데, 많은 분들이 카트리지로 만들어 사용하시는 것 처럼 보이지만 MiSTer의 MSX 코어에서는 카트리지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이를 사용할 수 없다. 하지만 'plaire'님은 ROM 이미지도 공개하셨기에 이를 이용해 보면 어떨까. 사전에 MSX 코어 설정에서 'Slot' 항목에 'MegaSCC+ 1MB'로 맞추어야 한다. 'ROMLOAD'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공..

Antonio Villena의 스토어에서 'VGA -> Composite/S-Video Converter'를 구매했다. 이 글을 작성하고 있는 지금은 'out of stock' 상태이지만, 좀 더 저렴한 수정 버전을 시험하고 있다고 하니 조만간 다른 버전이 스토어에 게시될 지도 모른다. MiSTer FPGA의 VGA 신호로부터 컴포지트 또는 S-Video 신호를 뽑을 수 있도록 해 주는 변환장치이다. '왜 VGA 포트의 RGB나 HDMI 신호를 사용하지 않고 composite 또는 S-Video 신호를 사용하는가?'라는 질문이 있을 수 있을텐데, 어느 해외 유명 유투버는 '왜냐고 묻지 마라. 그게 레트로 세계니까.'라고 답했다. 나의 경우는, RGB 카드가 없어 composite 또는 S-Video 신호..

디스플레이, 컨트롤보드, 스피커, 케이스를 이리저리 구성해서 한 세트를 맞추고 구동을 확인하는데 집중하느라고 MiSTer에서 화면 설정에 대해 많이 생각해 보지 않았는데, 글을 두 개(#1, #2)나 올리고 나서야 MiSTer의 240p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설정에 대해 몇 가지 생각해 보게 되었다. MiSTer 쪽의 MiSTer.ini 파일 설정 관련 내용이다. 1. video_mode 이전 글에서도 올렸듯이 'video_mode=2048,26,32,48,1536,3,6,12,200000'로 세팅하면 'vsync_adjust' 값을 1로 하든 2로 하든 계속 화면 싱크가 드랍되어서 싱크를 다시 잡느라 화면이 계속 깜빡이는 현상이 발생했다. 결국 'video_mode=13'(2048x1536@60..

Misterfpga.co.uk에서 구매했다. 라즈베리파이 3와 연결까지 해봤는데, MiSTer의 IO 포트 전원으로는 'low voltage' 경고가 뜨거나 정상적으로 동작되지 않았다. 결국 라즈베리파이 3의 마이크로 USB 포트로 외부 전원을 주고 나니(Hat의 스위치는 OFF) 간신히 동작하기는 한다. MiSTer 쪽의 전원을 사용할 때 문제가 되는 이유는 MiSTer의 DE-10 nano 보드에서 전원 보호회로가 있기 때문에 DE-10 nano로부터 충분한 전원을 공급받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따라서 MiSTer의 User IO 커넥터로부터 USB 3.0 케이블을 통해 MT32-Pi의 전원을 공급받고자 하는 경우 USB 3.0 케이블의 길이나 종류 등이 영향을 주는 요소가 되는 것 같다.

그동안 MiSTer 기기의 IO Board는 MisterAddons에서 판매한 v6.0을 사용하고 있었는데, 이번에 MisterFPGA.co.uk에서 v6.1을 구매했다. 사실 v6.0을 그대로 사용하려고 생각했었다. 사용 범위 안에서 v6.0과 v6.1의 차이가 크지 않았고, 만약 v6.1의 사용이 필요해지만 v6.0을 개조하는 것도 생각하고 있었다. 그런데 v6.0에서 메가드라이브/제네시스 컨트롤러를 SNAC으로 연결하는 것이 안되고 또 향후 v6.0에서 어떤 제약이 발생할지 몰라 v6.1의 구매를 결정했다. v6.0에서 메가드라이브/제네시스 컨트롤러 사용은 'Daemonbite Sega Controller To USB Adapter'를 활용할까 생각했지만 Daemonbite 어댑터 간에 Joysti..

닌텐도 스위치용 프로 콘트롤러나 슈퍼패미컴 컨트롤러가 닌텐도 스위치 외에 PC 등 기타 기기에서 잘 인식하지 않아서, 이것들을 MiSTer 기기에 붙여 볼 생각을 전혀 하지 않았다. 그러다가 해외 어느 포럼에서 MiSTer 기기에 스위치 프로 컨트롤러를 사용하는 모습을 보고 닌텐도 스위치용 슈퍼패미컴 컨트롤러를 연결해 보았다. MiSTer 기기에서 바로 인식하지는 않았고, 컨트롤러 키 맵핑을 해 주니 인식했다. 조작감이 오리지널에 가깝다고 생각되었으나 입력지연이 조금 있는 것 처럼 느껴지기도 했다. 개인적으로는 그냥 Retroflag의 슈퍼패미컴 카피 패드를 사용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