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게임보이
- Game Gear
- analogue
- ensemble
- 앙상블
- fpga
- MSX
- 메트로이드
- 3DS
- 메가드라이브
- 닌텐도
- 건담
- 오블완
- snes
- Apple II
- 패미컴
- 슈퍼마리오
- 티스토리챌린지
- 게임기어
- PC엔진
- 컨트롤러
- 새턴
- ps4
- 슈퍼패미컴
- Saturn
- mobilesuit
- GOG
- mister
- 모빌슈트
- 닌텐도스위치
- Today
- Total
목록Apple II (21)
Just a Blog

'Might and Magic Book II'의 화면 모습. (1) Apple IIc 컴포지트 모니터의 촬영 사진(이미지 출처: https://misterfpga.org/viewtopic.php?t=4518&start=60, https://imgur.com/a/Wy11M9P) (2) MiSTer - Apple II 코어 HDMI 출력 ('Scanlines - Soft' 필터 적용) (3) Apple2ix 에뮬레이터 화면 캡쳐 (4) AppleWin 에뮬레이터 화면 캡쳐

'Times of Lore'는 1988년에 Origin에서 제작된 액션 롤플레잉 게임이다. 이후 '윙코맨더' 시리즈로 유명해지는 Chris Robert가 초기 개념을 제공한 것으로 게임 내에서 표시되는데, 그가 이 게임의 디자인과 디렉팅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Chris Robert는 이 게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거의 동일한 형태로 사용해 이후 'Bad Blood'(잡지 '마이컴'에서는 '증오'로 소개됨)을 제작하기도 했다. 이 게임은 여러 플랫폼에 이식되었는데, Apple II, Commodore 64 같은 8비트 컴퓨터는 물론이고 IBM-PC, Amiga 같은 16비트 컴퓨터와 게임 콘솔인 NES에도 이식이 되었다. 당시 국내에서는 대부분 Apple II 버전을 플레이 했을 것 같은데 나 역시 ..

MiSTer의 Apple II 코어에서 LISA 2.5를 동작시켜 'APPLE 어셈블리' 책에 나오는 어셈블리 예제를 실행해 보았다. 느낌이 새롭다. 'APPLE 어셈블리' 책의 어셈블리 코드가 책에 함께 나온 기계어로 그대로 변환되지 않았는데, 'STA #$06'이 책에서는 '85 06'으로 변환되었으나 LISA 2.5D 버전에서는 '8D 06 00'으로 변환되었다. 6502 Instruction을 살펴보니 '8D'는 절대(absolute) 주소 $LLHH를 오퍼랜드로 하고, '85'는 제로페이지 주소 $LL를 오퍼랜드로 한다. '85'를 사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인 것 같은데 어셈블러 설정을 별도로 할 수 있는 것인지 모르겠다. 기계어 코드 길이가 달라지니 직접 삽입한 서브루틴의 주소가 책의 내용과 달..

지난 달 즈음 MiSTer의 Apple II 코어에 비교적 큰 업데이트가 있었다. 대략적으로 변경된 몇몇 사항들을 살펴 보았다. 1. NIB 형식의 플로피 디스크 이미지에 대해 Disk Write 지원그동안 Apple II 코어의 가장 큰 문제는 플로피 디스크 이미지로 디스크 쓰기가 지원되지 않는다는 점이었다고 생각한다. 디스크 쓰기가 지원되지 않으면 Ultima 시리즈 같은 Apple II의 유명 RPG 게임에서 중간 세이브가 안되기 때문이다.최근에 부분적으로 개선이 이루어져서 NIB 형식으로 된 플로피 디스크 이미지에는 디스크 쓰기가 지원된다. 얼마나 정밀하게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직접 테스트 해 본 많은 NIB 포맷의 게임에서 세이브가 진행되었다. 개인적으로 Apple II 코..

Apple II는 내가 처음 보유했던 컴퓨터의 기반 플랫폼이었다. 당시 국내 사정상 미국 Apple사의 정식 Apple II 컴퓨터가 수입되던 것은 아니어서 우리나라에 비교적 많이 보급되던 방식의 Apple II+ 호환기였다. Apple II는 게임 콘솔이 아니라 퍼스널 컴퓨터였지만 당시 이것을 사용하던 사람들의 최대 관심사는 아마도 게임이었을 것이다. MSX도 그랬지만 8비트 퍼스널 컴퓨터가 가져오던 기술적 진보의 경의로움이 게임 분야에서 극에 달했기 때문이다. Apple II 및 호환기는 MSX 컴퓨터 보다도 하드웨어 성능이 부족한 컴퓨터였지만 그 제약 안에서도 놀라움을 주는 나름 훌륭한 게임들이 많았으며, Ultima 시리즈나 Prince of Persia 같은 타 플랫폼에서도 각광받는 게임의 출발..

그동안 구매 당시 업데이트 했던 버전으로 사용해 오던 Floppy Emu의 펌웨어를 230712A 버전으로 업데이트 했다. Floppy Emu 구매 후 Apple IIc를 사용할 때 계속 사용해 왔지만 펌웨어 업데이트를 신경쓰지는 않았는데, 얼마전 BMOW(Big Mess o' Wires) 사이트에서 Floppy Emu에 대한 최신 메뉴얼을 읽다가 221122A 버전부터 Smartport Hard Disk Emulation 방식에서 하드 디스크 이미지를 메뉴 UI에서 선택할 수 있다는 문구를 보고, 펌웨어 업데이트를 결심했다. 221122A 버전 이전에는 하드 디스크 이미지를 'SMART0.', 'SMART1.', 'SMART2.', 'SMART3.'로 시작하는 4개의 파일만 사용하거나 아니면 부팅하고..

올해 구했던 '이안'님의 제품. 1. Mockingboard 4cApple IIc CPU 탈거가 어려워 아직 미장착. --> 장착 완료 [오늘 한 일] Apple IIc에 Mockingboard 4c 설치예전에 구매했으나 설치하지 못하고 있던 'Mockingboard 4c'를 이제야 설치했다. [Apple II 주변기기] Mockingboard 4c, Simple Joystick for Apple // 올해 구했던 '이안'님의 제품. 1. Mockingboard 4c Apple IIc CPU 탈거가wehong.tistory.com 2. Simple Joystick for Apple //잘 사용하고 있음. 스틱 부분 높이가 조금 낮고 바디가 약간 더 두꺼웠다면 더 좋았을 것 같다.

Apple IIc 연결에 대한 내용은 간략하게 하려고 한다. 컴포지트(composite) 단자로 연결한 결과가 LMD-1410에서와 거의 동일하거나 심지어 그보다 못하기도 했기 때문이다. ※ 참고 - EYOYO E10의 Apple IIc 연결 결과 - ODV, AV2HDMI의 Apple IIc 연결 결과 - LMD-1410의 Apple IIc 연결 결과 1. 거치 LMD-9050 본체 자체가 작기 때문에 Apple IIc에 올려서 사용해 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지만, 무게가 아랫쪽에 있는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에 압력을 가할 것이므로 좋은 생각은 아닌 것 같다. 2. 텍스트 (1) color killer 처리 당연히 텍스트에서 흑백으로 잘 표시된다. 당연하다고 볼 수 있는데 EYOYO E10의 경우 때문에..

Apple IIc와 LMD-1410을 컴포지트로 연결해서 화면 품질을 살펴봤다. 예전에 작성한 Eyoyo E10 연결 결과, ODV/AV2HDMI 연결 결과, PVM-9L3 연결 결과를 참고하여 비교하면 좋을 것 같다. 1. 텍스트 화면 (1) 텍스트 화면 color killer 처리 우선 EYOYO E10에서 처럼 텍스트에서 color killer가 작동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지는 않았다. HGR 모드가 아닌 경우 텍스트가 하얀색으로 정상적으로 보였다. (2) 40 컬럼 모드 텍스트 모드나 HGR 모드의 40컬럼 텍스트 글자는 모두 식별 가능했다. Eyoyo E10, ODV, AV2HDMI에 비해 글자의 선예도(sharpness)가 낮은 것은 아쉽다. (3) 80컬럼 모드 텍스트 모드 글자는 비교적 잘..

2015년 직장에서 힘든 시기를 보내었을 때 PS4를 구매해서 오랜 만에 콘솔 게임을 접하게 되었고, 그 이후 언젠가 부터 몇 년 동안은 슈퍼패미컴, 메가드라이브, PC 엔진 같은 레트로 콘솔과 해당 게임들을 구매하여 플레이 하곤 했다. 그런 레트로 콘솔들이 현역이었던 당시에 그 콘솔들의 존재는 알고 있었지만 많이 접하지는 않았기 때문에 사실 그 방면에 아련한 추억이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그냥 과거의 유명했던 게임이라는 존재에 흥미를 느끼게 되고 사람들이 향유하는 레트로 게이밍 문화를 인상적으로 보게 되어 그런 것들을 가까이 했던 것 같다. 어쩌면 이 시대의 아저씨들이 느끼고 싶어하는 향수 같은 것을 '게임'이라는 장르에서 찾았던 것인지도 모르겠다. 그러다가 얼마 전 부터 8비트 컴퓨터들에 대해 관심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