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Apple II
- 티스토리챌린지
- 슈퍼마리오
- 게임기어
- 새턴
- PC엔진
- analogue
- GOG
- 슈퍼패미컴
- mobilesuit
- 건담
- mister
- Saturn
- snes
- 컨트롤러
- ensemble
- 패미컴
- 메트로이드
- Game Gear
- 오블완
- 앙상블
- ps4
- 게임보이
- 메가드라이브
- fpga
- 닌텐도
- 닌텐도스위치
- 모빌슈트
- MSX
- 3DS
- Today
- Total
목록패미컴 (17)
Just a Blog

유튜브 상에서 간혹 본 적이 있는 '불티오락실 레트로 게임 리뷰' 채널의 불티오락실님이 이 책을 집필했다는 소식을 듣고 구매했다. 책을 받아서 읽어 본 소감을 간략히 적어 본다. 레트로 게임 플랫폼 별로 '컴플리트 가이드' 또는 '퍼펙트 카탈로그' 시리즈 책들을 볼 때 마다 '게임에 대해 좀 더 상세한 내용이 있으면 좋았겠다'는 생각을 하곤 했다. '패미컴'의 경우, '패미컴 컴플리트 가이드'로는 어떤 게임이 발매되었는지를 이해할 수 있지만 특정한 패미컴 게임 하나에 대한 깊은 내용을 알기는 어렵기 때문이다('패미컴 퍼펙트 카탈로그'를 보지는 않았지만 비슷할 것이라 생각한다). 개인적 경험으로는 오히려 '추억의 패미컴 스토리'를 보면서 몇몇 패미컴 게임에 대해 흥미를 가질 수 있었다. 그렇기에 이 책이 ..

예전에 GOG에서 'Alwa's Awakening' 게임을 잠시 무료로 공개한 적이 있다. 당시에 무료이기에 이 게임을 라이브러리에 등록하기는 했지만 이 게임에 대해 잘 알지 못했기에 플레이는 하지 않았다. Alwa's Awakening In Alwa's Awakening you play as Zoe, a heroine sent from another world to bring peace to www.gog.com 그런데 얼마전 사람들이 이 게임을 NES나 패미컴에서 실행하는 모습을 보게 되면서, 이 게임이 8비트 NES/패미컴을 타겟으로 만든 게임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호기심이 일어 GOG 페이지를 살펴 보니 NES/패미컴에서 이 게임을 구동하려면, DLC 형태인 'Alwa's Awakening T..

한달 전 즈음에 패미컴 디스크 시스템의 기능을 대체하는 FDSSTICK을 구매한 적이 있다. [패미컴 주변기기] FDSSTICK 구매FDSSTICK이라는 제품을 해외에서 구매했다. FDSSTICK은 FDS, 즉 패미컴 디스크 시스템(Famicom Disk System)의 역할을 에뮬레이션 하는 장치이다. 처음 FDSSTICK을 알게 되었을 때 거의 즉각적으로 구매를 결심wehong.tistory.com다양한 기능과 깔끔한 성능으로 괜찮은 제품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FDSSTICK의 디스크 드라이브 에뮬레이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하는 오픈소스 프로젝트 기기인 FDSKey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GitHub - ClusterM/fdskey: Famicom Disk System drive emulat..

FDSSTICK이라는 제품을 해외에서 구매했다. FDSSTICK은 FDS, 즉 패미컴 디스크 시스템(Famicom Disk System)의 역할을 에뮬레이션 하는 장치이다. 처음 FDSSTICK을 알게 되었을 때 거의 즉각적으로 구매를 결심했던 이유는 FDS에서 기계적 장치인 디스크 드라이브(HVC-022)에 대한 고장 염려 때문이었다. FDS 중고품을 구매했을 때 벨트 교체가 된 것을 선택하기는 했지만, 많은 사용자들이 벨트 교체 후에도 다시 벨트 손상이 발생 가능하다는 이야기를 한다. 혹시 FDS에 벨트에 문제나 기타 다른 물리적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FDS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는 대안 방법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FDSSTICK을 디스크 드라이브 대용으로 사용하면 HVC-022 없이도 FDS ..

'악마성' 시리즈 중 패미컴 게임 '드라큘라 II 저주의 봉인'과 게임보이 게임 '드라큘라 전설'을 구매했다. '드라큘라 II 저주의 봉인'은 패미컴 디스크 시스템 게임으로 패미컴 악마성 시리즈의 두 번째에 해당한다. 이상하게도 '악마성 애니버서리 컬랙션 (Castlevania Anniversary Collection)'에는 북미판 'Castlevania II Simon's Quest' 버전만 포함되어 있고 일본판인 이 게임이 포함되어 있지는 않다. 전편이나 이후 악마성 클래식 시리즈의 스타일과 조금 다르게 선형적으로 진행되지 않고, 마치 RPG 게임 처럼 경험치, 아이템 구매, 비선형적 탐험 등의 형식이 도입되었다. MSX '악마성 드라큘라'와 비교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조금 다르다고 생각하는데, MSX..

패미컴 디스크 시스템을 중고로 구매하고 나서 '악마성 드라큘라' 게임만 플레이 하고 있었는데 아깝다는 생각이 들어 다른 패미컴 디스크 시스템 게임을 찾아 보고 있었다. 패미컴 디스크 시스템 게임 중 저렴하면서 디스크 저장이라는 장점을 살린 게임을 찾다가 '젤다의 전설' 게임이 생각나서 구매했다. 역시 설명서나 박스 없이 케이스와 레이블만 있는 것으로 저렴하게 구매했다. 최근 닌텐도 스위치까지 이어 온 '젤다의 전설' 시리즈의 시초가 되는 게임이다 보니 게임 플레이 화면을 본 적은 많지만, 직접 플레이 해 본 적은 거의 없어 좀 이색적인 경험을 했다. 패미컴이 MSX에 비해 강점을 가지는 부드러운 화면 스크롤 기능은 Start 버튼을 눌러 상태 창을 볼 때 뿐이고, 대부분은 한 구역 단위로 끊어져서 화면이..

시중에 추천되는 패미컴 게임을 플레이 해 보고 모두가 만족스러웠던 것은 아니다. 사람마다 취향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반대로 게임에 대한 다른 사람들의 평가가 적어서 아무런 기대없이 플레이 했는데 그 게임에 대해 매력을 느끼게 되는 경우도 종종 있다. 개인적으로 패미컴 게임 '뉴 고스터버스터즈 2'가 그런 게임 중 하나이다. '뉴 고스터버스터즈 2'는 유명한 헐리웃 영화 '고스터버스터즈'의 게임화 작업 중 하나이며 패미컴 게임 '고스트버스터즈'의 속편이다. 속편이지만 타이틀에 'New'라는 문구가 강조되어 있는 것은 Activision의 북미판 'Ghostbusters II'와 구분짓기 위함이 아닌가 싶은데, 제작사는 전작과 다른 'HAL 연구소(HAL Laboratory)'이다. 평가가 좋지 ..

톤킨하우스(Tonkin House)가 발매한 게임이지만 컴파일(Compile)이 개발했다고 한다. 게임을 플레이 해 보면, 번호 아이템으로 무기를 선택하는 게임 시스템이나 고유의 컴파일 사운드를 통해 '자낙'이나 '알레스트'와 비슷한 컴파일 産 게임이라는 것을 바로 알 수 있다. 제목만 봐도, 포니캐년으로 발매했으나 컴파일이 개발했던 '자낙' 게임에 대한 자기 패러디라고 볼 수 있다. 게임을 플레이 해 보면서, 패미컴 플랫폼에서 제법 잘 개발된 슈팅 게임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빠르고 부드러운 스크롤링, 매끄러우면서 다채로운 캐릭터들의 움직임, 깜빡임과 느려짐이 최소화되면서도 복합적으로 진행되는 흐름 등의 요소들을 통해, 패미컴 하드웨어의 기능과 성능을 잘 파악한 장인들이 만든 게임이라는 느낌을 받았다. ..

'콘트라'는 아케이드 및 가정용 기기로 출시된 코나미의 런앤건 게임 시리즈이다. 처음 아케이드판 '콘트라'가 1987년 출시되어 인기를 얻은 후 코나미는 가정용으로 이식을 하기도 하는데, 패미컴판 '콘트라'는 1988년에 발표되었다. 패미컴판 '콘트라'는 아케이드와 다른 패미컴의 특성을 고려해 여러가지가 변경이 있다. 성능 상 그래픽이 간소화된 것은 당연했고, 화면이 아케이드 버전의 세로로 긴 형태에서 가로로 긴 형태로 바뀌었으며, 등장 캐릭터들이 간소화 되기도 했다. 하지만 패미컴이라는 플랫폼 안에서 나름 훌륭한 짜임새와 완성도를 가지고 있어서 당시에 액션 게임으로서 제법 인기가 있었다고 들었다. 요즘도 간혹 이 게임을 플레이 하는 게임 스트리머가 보이기도 한다. 일본판은 북미판과 달리 VRC2칩을 사..

'구니스' 게임은 원작 영화가 있었던 만큼 MSX나 패미컴 뿐 아니라 Apple II, Commodore 64 등 여러 플랫폼으로 게임화 되었다. 하지만 제작사가 달랐던 만큼 게임 형태가 서로 달랐는데, 그나마 MSX판과 패미컴 판은 둘 다 제작사가 '코나미(Konami)'여서 비슷한 스타일이었다. 두 게임 모두, 크고 복잡한 플랫포머 형태의 맵을 돌아 다니며 사라진 아이들을 구하는 구성이다. 초반부 신디로퍼가 부른 영화 주제가가 BGM으로 나온다. 그럼에도 당시 코나미가 MSX와 패미컴에서 동일명으로 게임을 출시하면서도 각 플랫폼 특성에 맞게 별개로 개발했던 사례(그라디우스, 콘트라, 메탈기어, 트윈비 등)와 비슷하게, 이 게임도 MSX와 패미컴의 특성에 맞게 제작되어 있다. MSX 게임은 화면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