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오블완
- 건담
- analogue
- 앙상블
- 모빌슈트
- 닌텐도스위치
- 닌텐도
- 게임보이
- MSX
- mobilesuit
- 메가드라이브
- Apple II
- 메트로이드
- GOG
- 컨트롤러
- 슈퍼패미컴
- 게임기어
- ps4
- 슈퍼마리오
- Game Gear
- snes
- 3DS
- Saturn
- fpga
- 티스토리챌린지
- 패미컴
- 새턴
- ensemble
- PC엔진
- mister
- Today
- Total
Just a Blog
[세가 새턴 주변기기] SAROO 구매 후 사용 소감 본문
1. 서론
새턴 기기에 장착해 디스크 이미지 파일로 게임을 구동할 수 있는 장치들이 다수 소개되었다. CD를 구워야 했던 Action Replay 또는 All-in-One 카트리지나, 개발자가 한정 생산해서 아무 때나 구매할 수 없었던 Rhea 또는 Phoebe 시기를 넘어, 이제는 Fenrir, MODE, Satiator, SAROO 같은 제품 중에서 사용자가 마음대로 선택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최근 1년 정도는 SAROO가 새턴 사용자들에게 화제의 중심에 있었다. 가격, 장착 용이성, 실행 성능 등이 다른 대안들 대비 우수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SAROO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고 최근 구매했는데, 이 제품을 사용해 보고 느낀 소감 등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2. 구매동기
개인적으로 Terraonion의 MODE를 새턴에 사용하고 있었다. 그래서 SAROO를 구매해서 사용하는 것이 중복적인 일이라 생각했다. 그러다가 최근에 CD를 직접 구동할 수 있는 중고 새턴 본체 기기를 최근에 한 대 구매했는데, 그 때 SAROO가 떠올랐고 한번 사용해 볼 기회라는 생각이 들었다. 더구나 가격이 예전보다 낮아져서 최종적으로 구매를 결심했다.
3. 구매
SAROO가 오픈소스 하드웨어/소프트웨어이기 때문에 초기에는 여러 곳에서 나름의 방식으로 제조했다고 한다. 그래서 특정 펌웨어만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나 개조 펌웨어가 설치가 되지 않는 제품도 많았다고 들었다. 지금은 어떤지 상황을 몰랐기에 다른 사람들이 리뷰를 많이 한 'SAROO SS HDloader'라고 레벨링 되어 있는 제품을 구매했다.
해당 제품의 경우에 색상(black, blue)과 별도로 'Normal'나 'Elite'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Normal은 다른 곳에서 사용된 부품을 사용해 만든 것이라고 하고 Elite는 신규 부품을 사용한 것이라고 한다(기판 색상으로 둘을 구분할 수 있다고 한다). blue 색상(아쿠아 블루 정도의 색상으로 보인다)에 Elite 제품으로 구매했다.

4. 펌웨어
제품을 구매할 때 마이크로SD카트가 포함되지 않은 것을 구매했기 때문에, 펌웨어를 별도로 받아서 여분의 마이크로SD카드에 설치했다. 펌웨어는 GitHub 계정에서 받았으며, 이 글을 작성하는 시점에 최신 버전은 0.7이다.
GitHub - tpunix/SAROO: SAROO is a SEGA Saturn HDloader
SAROO is a SEGA Saturn HDloader. Contribute to tpunix/SAROO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다운로드 받은 펌웨어 파일의 압축을 풀어서 마이크로SD카드의 루트 디렉토리에 복사하면, 루트 디렉토리 아래 'SAROO' 디렉토리가 만들어 진다. 'SAROO' 디렉토리 안의 펌웨어 파일은 FPGA 및 MCU를 위한 바이너리 파일 각각 한 개, 설정을 위한 TXT 파일 한 개, 메뉴에서 커버 이미지 표시를 위한 파일 한 개로 구성되어 있다.
디스크 이미지 파일은 'SAROO' 디렉토리 아래 'ISO'라는 디렉토리를 만들어 안에 넣으면 된다. 디렉토리 이름은 'ISO'이지만 구동되는 파일의 형식은 BIN/CUE 포맷이다. 'ISO' 디렉토리 안에 디렉토리는 CD별로 생성해야 하므로, 2장 이상으로 구성된 디스크는 별도로 디렉토리를 만들고 디렉토리명 끝에 'cd1', 'cd2' 등의 이름을 붙여야 한다고 한다.
시작 메뉴에 배경 이미지를 띄우고 음악을 재생할 수도 있는데 취향이 아니라서 그런 사항을 적용하지는 않았다.
5. 구동
작성한 마이크로SD카드를 넣고 실행시키니 다행히 동작을 했다.


이미지 파일을 넣었던 게임을 실행해 보니 대체로 잘 구동했다. 구동해 본 게임 중 완전히 실행이 안되는 것은 없었으나, 구동 중에 다음으로 넘어가지 않는 현상이 발생한 적은 있다. 하지만 다음 번에 실행하면 동일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매번 발생하는 것은 아닌 것 같다.
MODE에서의 구동과 비교할 때 메뉴에서 선택한 직후 게임의 구동까지 걸리는 시간이 짧으며, 게임 중간에 CD를 읽으면서 'Now Loading'이라는 문구가 나오는 시간도 매우 단축되는 것을 느꼈다. 사실 예상했던 것 보다 그런 시간들이 더 짧았기 때문에, 누군가가 'SAROO를 사용하면 소프트웨어 에뮬레이터를 사용하는 것 같다'고 한 말이 실감이 되었다.



6.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SAROO의 장점
앞서 언급한 내용들이 될 수 있겠는데 개인적으로 체감한 SAROO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저렴하다. 과거에 10만원에 가까운 가격이었을 때에도 Fenrir, MODE, Satiator에 비해 매우 저렴했는데, 이 글을 작성하는 시점에는 그 절반 수준의 가격이어서 가격면에서는 다른 대체 장치들과 비교 불가이다.
둘째, 장착을 위한 노력이 제로에 가깝다. ODE 장치들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기기를 분해하여 기존의 드라이브를 제거하고 내부에 기구를 설치하는 등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SAROO의 경우 확장 슬롯에 꽂기만 하면 된다.
섯째, CD 이미지를 구동하는 속도가 매우 빠르다. CD 로딩 타임을 잘 느끼지 못 할 정도로 데이터 로딩 속도가 빠르다.
넷째, 확장 메모리 기능이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고 1M/4M 선택도 자동으로 한다. Fenrir, MODE, Satiator 사용 시에도 확장램팩는 별도로 필요한데 SAROO는 이것들이 필요가 없다.
다섯째, 세이브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세이브 데이터를 마이크로SD카드 내 파일로 저장한다. 특히 내장 메모리에 저장할 때 SAROO가 가로채서 마이크로SD카드에 작성하기 때문에, 본체 코인 셀 방전에 의해 내장 메모리의 세이브 데이터가 날아가 버리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7.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SAROO의 아쉬운 점
첫째, 적어도 현 시점에는 게임 구동 성능이 아주 완벽하지는 않다.
둘째, Action Replay의 치트 기능이 (이 글의 작성 시점에) 아직 지원되지 않는다. 메뉴 항목의 'Load Binary'가 향후 해당 기능을 호출한다고 알려져 있는데 아직은 해당 기능이 구현되어 있지 않다.
셋째, 새턴 본체의 확장 슬롯에 장착해야 한다. 확장 슬롯에 꽂는 것 만으로 동작하는 편리함이 장점이기도 하지만, 새턴 확장 슬롯의 내구성이 좋지 않은 것으로 워낙 정평이 나 있기 때문에 단점이 되기도 한다고 생각한다. 개인적으로는 광학 드라이브 만큼이나 이 단자의 품질과 수명에 의구심을 가지고 있다. Satiator처럼 후면 슬롯에 장착이 되는 형태이면 더 좋았을 것 같다.
8. 소감
과연 오랜 새턴 유저들에게 화제가 될 법 한 기기인 것 같다. 저렴하고 사용하기 쉬우며 동작이 빠르고 여러가지 편의 기능이 통합되어 있다는 점이 놀랍다. 광학 드라이브의 수명이 얼마남지 않은 새턴 유저들에게는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업데이트가 자주 되어서 구동 안정성이 향상되고 여러 부가기능이 추가 지원되면 좋을 것 같다.
다른 한편으로, 확장 슬롯이 카트리지를 정상 인식하지 못하는 새턴에는 SAROO가 아닌 Fenrir, MODE, Satiator를 쓸 수 밖에 없지 않겠나 하는 생각도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