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닌텐도
- fpga
- 게임보이
- 패미컴
- mobilesuit
- 3DS
- 앙상블
- 컨트롤러
- ensemble
- 건담
- Apple II
- 새턴
- mister
- MSX
- 게임기어
- 슈퍼패미컴
- 티스토리챌린지
- 모빌슈트
- analogue
- 메트로이드
- 오블완
- Game Gear
- 닌텐도스위치
- GOG
- snes
- 메가드라이브
- 슈퍼마리오
- PC엔진
- Saturn
- ps4
- Today
- Total
Just a Blog
Apple IIc 컴포지트(composite) 연결에 대한 ODV / AV2HDMI 기기 간 비교 본문
MSX 기기에서의 영상 연결은 컴포지트 외에도 S-Video나 RGB 같은 선택지가 있는 반면, Apple IIc의 경우 컴포지트 외에 영상을 연결할 방법이 거의 없다. 몇몇 방법이 있다고 해도 컴포지트 신호와 추가 신호를 이용한 방식이며, Apple IIc 비디오 확장 포트를 사용한 괜찮은 방법들은 현재 대부분 구하기 쉽지 않다. Apple IIe 등에서는 확장 슬롯을 사용하는 경우 다른 방법이 있을 수 있는지 모르지만 Apple IIc에서는 그마저도 어렵다.
그래서 Apple IIc를 요즘의 모던 디스플레이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컴포지트 신호의 업스케일링 컨버터가 필요하다(컴포지트 입력 TV라든가 컴포지트 입력 단자가 있는 모니터가 없을 때의 대안이다). RetroTINK 시리즈, GBS-8200, RGBtoHDMI 등 컴포지트 신호용 업스케일러를 생각해 볼 수 있겠는데, 그중 비용이 저렴한 편인 'ODV'와 'AV2HDMI'를 직접 연결해 보고 비교해 봤다.

ODV는 RetroTINK 2X의 복제품으로 알고 있는데, 컴포지트 신호와 S-Video 및 컴포넌트 신호를 입력 받아 HDMI 신호로 변환해 주는 컨버터이다.

AV2HDMI는 컴포지트 신호만을 입력으로 받아 HDMI로 변환해 주는 작은 컨버터이다. ReActiveMicro.com 같은 레트로 컴퓨팅 스토어에서도 Apple II 연결용으로 판매하고 있는 제품이다.

비교확인을 위해 모니터(ZEUSLAP 15.6인치)와 RCA 케이블은 동일한 것을 사용했다.

1. 40 컬럼 TEXT
(1) 비교
- ODV

- AV2HDMI

(2) 소감
AV2HDMI 쪽이 글자가 더 선명하다. AV2HDMI 쪽의 글자들은 외곽선이 선명하게 살아있는데, ODV 쪽에서는 'e', 'R', 'K' 등의 글자에 있는 사선이나 곡선 부분에서 흐릿함이 보인다.
2. 40 컬럼 HGR
(1) 비교
- ODV

- AV2HDMI

(2) 소감
ODV 쪽의 색감이 TV에서의 색감에 더 가까운 것 같다. AV2HDMI 쪽의 색은 연하면서 픽셀 주변 색발광 같은 것(픽셀 주위에 빛이 새어 발광되는 듯한 현상)이 느껴진다. 양쪽 모두 가독성은 괜찮다.
3. 80 컬럼 TEXT
(1) 비교
- ODV

- AV2HDMI

(2) 소감
40 컬럼 때와 동일하게 글자의 선명도는 AV2HDMI가 낫다. 양쪽 모두 가독성은 괜찮다.
4. 80 컬럼 HGR
(1) 비교
- ODV

- AV2HDMI

(2) 비교
당연하게도 가독성이 모두 나빠졌지만, 그래도 ODV 쪽이 훨씬 가독성이 낫다. AV2HDMI에서는 글자를 알아보기 힘들다(초점이 안맞게 사진이 찍히기도 했지만, 선명하지 않기 때문에 카메라가 초점을 못 잡은 것 같다.).
5. Bard's Tale III 타이틀 화면
(1) 비교
- ODV

- AV2HDMI

- (참고1) CRT(PVM-9L3) composite 연결

- (참고2) Eyoyo EM10 Composite 연결

(2) 소감
픽셀의 선명도는 AV2HDMI 쪽이 낫지만 픽셀 간 색상 어울어짐은 ODV 쪽이 낫다. PVM-9L3 쪽과 이미지가 비슷한 쪽은 AV2HDMI 쪽인 것 같고, 일반 컴포지트 TV에서 보던 화면과는 ODV 쪽이 더 가까운 것 같다.
6. Wasteland 타이틀 화면
- ODV

- AV2HDMI

- (참고1) CRT(PVM-9L3) composite 연결

- (참고2) Eyoyo EM10 Composite 연결

(2) 소감
역시 선명함은 AV2HDMI 쪽이 좋다. ODV 쪽에서는 이미지가 흐릿하며 모든 글자들에서 color fringing이 나타난다. AV2HDMI 쪽이 PVM-9L3의 화면에 더 가깝게 보이지만 색상은 좀 다르게 느껴지며, ODV 쪽은 역시 컴포지트 TV 느낌이 난다.
7. Ultima V 타이틀 화면
(1) 비교
- ODV

- AV2HDMI

- (참고1) CRT(PVM-9L3) composite 연결

- (참고2) Eyoyo EM10 Composite 연결

(2) 소감
이번에는 ODV 쪽이 더 선명하고 정확해 보인다. ODV 쪽에서 게임 화면 속 바닥 타일 부분에서 한번씩 파란색 세로선이 보이는 현상은 아쉽다.
AV2HDMI 쪽에서 색번짐이 더 심하게 보이고 수직선들이 사선처럼 보이는데, 특히 책장의 책과 식물이 비스듬하게 누워 있는 것 처럼 보인다거나 벽 블록이나 바닥 타일의 외곽선이 직선이 아닌 사선으로 보이는 등 왜곡이 심하게 보인다. 이것을 보면 AV2HDMI 쪽에서 뭔가 후보정 작업을 많이 하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8. Snoopy To The Rescue 시작 화면
(1) 비교
- ODV

- AV2HDMI

- (참고) CRT(PVM-9L3) composite 연결

(2) 소감
양쪽의 퀄리티가 비슷해 보인다. ODV 쪽에서는 색의 선명도가 조금 아쉽고 AV2HDMI에서는 글자의 픽셀 주변의 색발광 효과가 두드러진 것이 조금 아쉽지만, 전반적으로는 둘 다 비슷한 수준이다.
9. Snake Byte 타이틀 화면
(1) 비교
- ODV

- AV2HDMI

- (참고2) Eyoyo EM10 Composite 연결

(2) 소감
마젠타색 배경 색의 정확도가 ODV 쪽이 앞선다는 생각이 든다. 글자 이외에 이미지에서는 잘 느끼지 못했던 AV2HDMI 쪽 색발광 효과가 타이틀 로고 글자와 뱀 그림에 전반적으로 적용되어 ODV 쪽보다 선명도가 못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제일 하단의 카피라이트 문구도, ODV 쪽은 알록달록하지만 부드럽게 보이고, AV2HMI 쪽은 픽셀이 느껴질 정도로 선명하지만 픽셀 주변 색발광이 강하게 보인다.
비교적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컴포지트 업스케일러인 두 제품을 Apple IIc와 연결해 봤는데, 어느 둘 중 하나가 압도적으로 나은 것 같지는 않다. ODV는 컴포지트 화면 표시에 집중해 컴포지트 TV에서 화면을 보는 것 같은 느낌을 주고, AV2HDMI는 텍스트나 이미지 픽셀을 가공해서 세밀하고 선명하게 보여준다. 하지만 ODV는 NTSC 효과 처럼 알록달록한 color fringing 효과가 강했고, AV2HDMI는 픽셀 주변 발광현상이 강하게 보였으며 일부 왜곡현상도 보였다. AV2HDMI가 나은가 싶다가 다른 경우를 보면 ODV가 낫다 싶기도 했다. 이것을 다르게 생각해 보면, 두 기기 중 하나를 저렴하게 구입해서 그냥 편하게 사용하는 것도 방법일 것 같다.